뛰는 최저임금 위에 나는 '청년물가'

입력 2018-03-04 18:39   수정 2018-03-05 07:05

6개월간 가격 오른 외식·편의점 품목 80%가
10~20대 주로 이용하는 1만원 이하 먹거리

먹거리 도미노 인상… 최대 피해자는 10~20대
롯데리아·KFC 등 햄버거 가격 4~10% 인상
김밥·떡볶이·짬뽕·순대국 최대 1000원 올라
편의점 도시락·삼각김밥 100~200원가량↑

식품업계도 줄줄이'얌체 인상'…"혼밥도 무섭다"
물가 통제로 가격 억눌러온 햇반·스팸 등 고고(高高)
"시급보다 더 오른 물가… 삶이 더 팍팍해졌어요"



[ 김보라 기자 ] 작년 말부터 하루가 멀다 하고 가격 인상 소식이 들린다. 햄버거를 시작으로 커피, 샌드위치, 치킨, 떡볶이 등 가격이 줄줄이 올랐다. 이들 품목의 특징은 주머니 얇은 10대 후반~20대가 즐겨 찾는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6개월간 가격이 오른 외식 브랜드와 편의점 주요 품목을 분석한 결과 80% 이상이 1만원 이하의 먹거리였다.

전 연령대를 통틀어 경제적으로 가장 힘든 세대인 20대가 가격 인상의 가장 큰 피해자가 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1%대로 안정적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젊은이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인 ‘청년물가’는 사상 최고인 청년경제고통지수(경제적 고통을 수치화·24.9%)를 더 높이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이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면 실질소득 증가 효과는 반감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햄버거에서 시작한 ‘청년물가’ 상승

외식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청년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인건비 영향을 다른 업종보다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이다. 주요 패스트푸드업체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예고된 작년 하반기부터 가격 인상을 시작했다. 롯데리아, KFC, 맥도날드, 버거킹, 맘스터치, 모스버거 등 주요 햄버거업체들은 4%에서 10%까지 가격을 올렸다. 서브웨이, 이삭토스트, 김밥천국, 신전떡볶이, 놀부부대찌개, 큰맘할매순대국, 홍콩반점, 짬뽕지존 등도 같은 이유로 메뉴별 가격을 최대 1000원까지 올렸다.

편의점도 가세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해 일부 도시락과 삼각김밥, 샌드위치 가격을 100~200원 올렸다. GS25도 일부 도시락과 주먹밥 가격을 100~300원 올렸다. GS25는 이달부터 나무젓가락, 종이컵, 머리끈과 같은 자체상표(PB) 상품 60여 개를 포함해 70여 개 상품 가격을 100~200원가량 인상했다.

릴레이 물가 인상의 최대 피해자는 10~20대다. 편의점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10대와 20대가 압도적으로 많다. 토스트, 삼각김밥, 떡볶이, 햄버거, 짜장면 등은 젊은이들이 즐기는 단골 메뉴다. 카페 아르바이트를 한다는 대학생 이모씨는 “햄버거 세트메뉴가 8000원 정도로 올라 친구들에게 밥을 사거나 간식을 먹자고 먼저 말하기가 부담스럽다”며 “시급 인상으로 월급이 30만원 정도 늘었지만 물가도 올라 저축할 여력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줄줄이 ‘얌체 인상’

외식업계에서 시작된 가격 인상이 식품업계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지면서 ‘얌체 인상’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제조업체들도 분위기에 편승해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CJ제일제당은 지난 1일부터 햇반 스팸 만두 등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업계는 선두 업체가 가격 인상을 단행한 만큼 오뚜기 등 다른 업체들도 곧 가격 인상에 동참할 것으로 보고 있다. 1인 가구의 ‘혼밥 단골 메뉴’와 가정간편식(HMR)마저 가격이 올랐거나 인상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요 소비층인 20~30대는 혼란스럽다. 2년차 직장인 송모씨는 “외식 물가가 많이 올라 주말이면 집에서 ‘혼밥’을 주로 해왔는데, 이마저도 오른다니 걱정”이라고 말했다.

청년물가 상승이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이 처한 처지 때문이다. 20대는 전 연령대를 통틀어 경제적으로 가장 힘든 세대다. 지난해 실업자 수 100만 명 중 40만 명이 20대였다. 실업률이 9.9%로 사상 최대다. 청년층 부채는 압도적으로 늘고 있다. 30세 미만 가구주의 부채는 지난해 평균 2385만원으로 전년 대비 41.5% 늘었다.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일각에서는 취약계층 삶의 질을 올리겠다는 취지로 시행된 제도가 오히려 젊은이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인 ‘청년물가’를 끌어올리는 부메랑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 수준을 감안한 실질 가구 소득은 떨어지는데 물가만 오르면 서민 지출 부담이 커져 소비가 점점 줄어들 것”이라며 “임금 인상의 가격 전가를 완화하기 위한 물가안정 방안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